데이터 리터러시를 위한 발자취

법정동/행정동 매칭 이슈 해결하기 본문

데이터 분석/QGIS

법정동/행정동 매칭 이슈 해결하기

wosole 2023. 5. 4. 20:00

데이터를 수집하다보면 전처리/가공 과정에서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내부 데이터를 활용할 때도 표준화가 안되어있어서 가공하는 데만...정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니다.

결측치도 많고 오타 때문에 이상치로 처리된 부분도 많고..데이터를 겪으면 겪을수록 데이터 품질도 반드시 챙겨야할 필수요소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이 점은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제가 프로젝트 진행 당시 은근 골아팠던 법정동/행정동 매칭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할까 합니다. 

※ 아래 설명 참고 없이 바로 결론만 보고 싶으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해결방안 작성 전에 웹 검색 결과, 법정동과 행정동의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 법정동과 행정동의 차이점

 

  • 법정동 : 법률로 지정된 행정구역 단위(변동사항 거의 없음)
  • 행정동 : 행정편의를 위해 지정된 행정구역(편의에 따라 변경 또는 폐지됨)

 

실제로 법정동/행정동 코드도 아래 이미지처럼 숫자가 조금 다릅니다.

 

서울광역시 법정동/행정동 코드 예시(출처 : 행정안전부)

예를 들어, 행정동 기준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효자동은 '1111051500'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법정동은 청운효자동으로 구분된 행정동보다 더 잘게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청운동(1111010100),신교동(1111010200),궁정동(1111010300) 등등 세부 코드값이 다릅니다


두 값의 차이는 QGIS로 띄워보면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청운동 - 노란색으로 가득 칠해진 부분
  • 청운효자동 - 노란색 라인(청운동 외 9개의 법정동을 포함하는 행정구역)  

법정동/행정동 시각화(QGIS)

이처럼 확연한 차이를 알 수 있는만큼 데이터 구매나 수집 시, 동일한 행정구역 기준으로 데이터를 가공되어야 합니다.

어쩌면 기초적이지만 데이터에 1도 모를 땐 이걸 모르고 넘어갔다가 다같이 엄청난 고생을..했더랬죠...ㅎㅎ

 

저희는 주로 경상권 데이터를 사용했었는데 '면'이 '읍'단위로 변환되거나, 최근 폐지되면서 과거데이터랑 코드가 매칭안되는 이슈도 있어서 법정동/행정동 코드는 꽤나 분석가들을 애먹이곤 했습니다.

 

그 때마다 법정동/행정동 코드값을 매칭시킨다고 구글링하고 폐지된 행정동 코드 찾아 행정동표준코드관리시스템에 일일이 조회해보고..이젠 추억이네요 ㅎㅎ


사설이 길었는데, 법정동/행정동 매칭 이슈를 해결할 때 유용한 사이트를 공유드릴까 합니다-!

아래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말소코드까지 다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업무안내> 지방자치균형발전실> 주민등록,인감> 주민등록,인감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ois.go.kr

최근 올라온 변경 내역을 살펴보면 경기도 하남시에 행정동 1개가 폐지되고, 1개가 신설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행정동 코드 데이터, 법정동 코드 데이터, 행정동+법정동 코드데이터 뿐만 아니라 말소코드까지 포함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과거데이터와 최신 데이터 간 코드 매칭 이슈 해결할 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 행정안전부 - 행정기관(행정동) 및 관할구역(법정동) 변경내역(2023. 5. 1. 시행) 참고

저도 이걸 조금 더 빨리 알았더라면 마스터테이블 만들때에도 덜 고생하지 않았을까 싶어요 :)

 

물론 행정표준코드관리시스템을 통해서도 조회하실 수 있지만, 이 방법이 더 유용하게 쓰이지 않을까 싶은 마음에 정리했습니다..! 

 

법정동코드목록조회 - 행정표준코드관리시스템

정상적으로 로그아웃하지 않았거나, 동일 사용자가 로그인한 상태입니다. 강제로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강제 로그인 시 다시 로그인을 하셔야 합니다.)

www.code.go.kr

 

혹시나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공유해주셔도 좋을 것 같네요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