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ysql
- 데이터분석가
- 국비지원
- bigquery
- 데이터분석
- 학습일지
- WSL
- 코테문제풀이
- shp
- 패스트캠퍼스기자단
- 패스트캠퍼스데이터분석부트캠프
- 내일배움카드
- SQL
- 아나콘다
- K디지털기초역량훈련
- 코딩테스트문제풀이
- Programmers
- 국비지원취업
- 패스트캠퍼스
- 부트캠프
- sql강의
- 코딩연습
- qgis
- 국비지원교육
-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 데이터분석취업
- 데이터분석부트캠프
- Python
- 패스트캠퍼스부트캠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2)
데이터 리터러시를 위한 발자취

데이터를 수집하다보면 전처리/가공 과정에서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내부 데이터를 활용할 때도 표준화가 안되어있어서 가공하는 데만...정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니다. 결측치도 많고 오타 때문에 이상치로 처리된 부분도 많고..데이터를 겪으면 겪을수록 데이터 품질도 반드시 챙겨야할 필수요소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이 점은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제가 프로젝트 진행 당시 은근 골아팠던 법정동/행정동 매칭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할까 합니다. ※ 아래 설명 참고 없이 바로 결론만 보고 싶으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해결방안 작성 전에 웹 검색 결과, 법정동과 행정동의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 법정동과 행정동의 차이점 법정동..
데이터 분석/QGIS
2023. 5. 4. 20:00